.

JSP Action Tag

by 담배맛구마

JSP에서 Java  Code 등의 스크립트 언어를 쓰지않고 HTML 형태로

다른 페이지의 서블릿이나 자바빈 객체에 접근 가능할 수 있도록 태그를 이용해 구현된 기능


* 페이지 흐름 제어 액션 (forward / include Action)

* 자바빈 사용 액션 (useBean Action)

* 애플릿 사용 액션 (plugin Action)


XML 문법을 이용해 구현된 기능이기에 <ㅁㅁ...../> 또는 <ㅁㅁ> ... </ㅁㅁ>의 형태를 띈다.


forward Action Tag

<jsp:forward page="_이동할 페이지_?~~&~~...."/>

pageContext의 forward() 메소드가 태그로 구현된 것

현재 페이지의 요청과 응답에 대한 처리권을 이동할 페이지로 넘겨준다.(request와 response객체를 넘겨주는 의미)

page에는 스키마(http://)와 도메인과포트(localhost:8888)를 제외한 나머지를 적는다.

즉, Context Root를 기준으로한 절대경로 또는 상대경로만 사용이가능하다.


이동할때 파라미터에 대해서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.

<jsp:forward page="_이동할 페이지_">

<jsp:param name="_파라미터이름1_" value="_파라미터값_1">

<jsp:param name="_파라미터이름2_" value="_파라미터값_2">

...

</jsp:forward>

Form태그에 POST 방식를 사용한다면 POST방식으로 가는것같은데 그냥쓰면 GET방식인듯



include Action Tag

<jsp:include page="_포함될 페이지_?..." flush="false"/>

현재 페이지의 요청과 응답에 대한 처리권을 포함될 페이지로 넘겨준다.(request와 response객체를 넘겨주는 의미)

하지만 forward와는 다르게 포함될 페이지의 처리가 끝나면 다시 요청과 응답에대한 처리권을 돌려받는다.

page에는 스키마(http://)와 도메인과포트(localhost:8888)를 제외한 나머지를 적는다.

즉, Context Root를 기준으로한 절대경로 또는 상대경로만 사용이가능하다.


flush의 의미는 잘모르겠다.


이동할때 파라미터에 대해서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.

<jsp:include page="_이동할 페이지_">

<jsp:param name="_파라미터이름1_" value="_파라미터값_1">

<jsp:param name="_파라미터이름2_" value="_파라미터값_2">

...

</jsp:forward>

Form태그에 POST 방식를 사용한다면 POST방식으로 가는것같은데 그냥쓰면 GET방식인듯



반응형

블로그의 정보

정윤상이다.

담배맛구마

활동하기